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마이어스 브릭스 유형 지표)는 카를 구스타프 융(C.G. Jung)의 심리학적 유형론을 토대로 만들어진 자기 보고 식 성격 유형 검사다. 사람을 외향(E)-내향(I), 감 각(S)-직관(N), 사고(T)-감정(F), 판단(J)-인식(P) 네 가지 척도의 관점에서 구분하고 두드러지는지 표의 알파벳을 조합해 16가지 유형으로 분류한다. MBTI는 내가 어떤 성향의 사람인지, 상대는 어떤 지 간단히 파악할 수 있게 해 주고, 결과지도 상당 히 재미있게 기술되어 있어 부담 없이 읽고 받아들일 수 있다. 같은 MBTI의 사람을 만나면 동질감을 느끼기도 하고 가족, 친구, 좋아하는 연예인의 MBTI를 알아보며 상대를 짐작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기도 한다.
물론 융의 유형론은 분류에서 그치지 않고 자신의 내면세계를 살피는 하나의 도구로 활용함에 그 의미를 가진다. 융은 누구나 태어날 때부터 편한 고 익숙한 심리적 기능이 있다고 했다. 반대 기능 은 상대적으로 열등하게 무의식 속에 남겨지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회화 과정을 겪으며 어느 정 도 심리적 균형을 이루면서 살아간다. 하지만 한쪽 극단에 치우쳐 있는 삶의 태도를 보일 때는 어 떤 형태로든 탈이 난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외향 적인 삶의 태도가 두드러져 직업적 성취, 사회활 동, 대인관계에 몰입하며 생활하던 50대 남성이 어느 순간 삶의 공허함, 우울 기분을 느끼며 병원을 찾아오는 경우가 있다. 이때의 우울은 비정상 적 증상이기보다는 무의식이 의식에게 보내는 메시지로 볼 수도 있다. 외향적 삶의 모습만큼 자신의 내면세계에도 공을 들이며 균형을 맞추는 것 이 필요하다는 신호인 것이다. 또한 사고형의 사 람은 이성적, 객관적으로 합당한 판단을 내리는 데 뛰어나지만 반대인 감정 기능에 소홀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취미생활, 예술, 친교 활동 등이 포함된 다. 유형론은 이렇게 개인의 열등 기능을 인식하 고 분화 발달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기실현을 돕는 기능을 한다.
‘MBTI 과몰입’은 금물
어느 순간부터 혈액형 성격, 별자리 운세 등이 자 리하던 역할을 MBTI가 대체하고 있다. MBTI 유 행은 단순하고 간편하게 나와 남을 알고 싶은 욕 구가 불러온 것으로 보인다.
MBTI는 가장 대중화된 심리검사이지만 정신건강 의학과 임상 현장에서의 활용도는 낮다. 지표 자체의 객관성과 효율성이 증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검사할 때마다 MBTI 유형이 다르게 나온다는 사 람이 있는 것은 신뢰도가 입증되지 않았다는 의미 이기도 하다. 같은 질문에도 최근 내가 처한 상황에 따라 다른 답을 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나를 잘 알아가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MBTI를 사용해볼 수 있겠으나 스스로를 단정 지어 라벨링 하지 안 아야 한다. ‘나는 이런 사람이야’라고 규정지음으 로써 미래의 자신의 생각과 행동까지 예측하거나 결정짓는 ‘MBTI 과몰입’을 하지 않도록 유의할 필 요가 있다. 자신이나 타인을 깊이 이해하는 데는 오랜 시간과 에너지가 든다는 사실을 잊지 말자.
MBTI, 무엇이 궁금한가요?
Q. 인터넷에 공짜로 할 수 있는 MBTI가 많은데 정식 검사를 할 필요 있나요?
A:온라인 무료 검사는 정식 MBTI와는 차이가 있다. 검사의 저작권 문제로 정확한 문장을 사용하지 않으며 많은 문항이 생 략된 형태이다. 간단한 형태의 결과만 보여주기 때문에 개인별 세부 검사 결과를 해석하는 과정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알 아야 한다.
Q. 외향형이 내향형보다 좋은 성격인가요?
A:E(외향형)는 외부 세계를 탐구하는 것을 선호하고 이에 적극적인 성격, I(내향형)는 내부 세계에 관심이 많고 이에 적극적인 성격을 의미한다. 선호도와 성향에 따른 분류일 뿐 우열이 나 순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므로, 다른 유형의 사람을 부러 워하거나 박탈감을 느낄 필요는 없다.
Q. 실제 MBTI는 어떤 분야에 활용이 되고 있나요?
A:MBTI는 병원보다는 상담, 교육, 기업 및 조직에서 활용도가 높다. 자신의 성격 유형을 잘 이해하고 진로 모색, 직무 능력 향상 등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MBTI가 유행하면서 기업 채 용 및 부서 결정 과정에 이를 사용한다는 소식이 들리기도 하 나 이는 지양해야 한다. 과학적 근거가 부족한 검사이므로 중 요한 결정에 이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